본문 바로가기

금융

IRP vs 연금저축, 퇴직 후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할까?

반응형

자동이체만으로 연금 운용 중인 중년 남성의 모습
연금 관련 문서를 검토 중인 중년 남성, 잘못된 운용 방식으로 수익이 0원이 될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상징

 

퇴직금 수령 시 IRP와 연금저축 중 어떤 상품이 유리할지 비교했습니다. 세금 구조, 수령 방식, 실제 활용 사례까지 확인해보세요.

 

퇴직을 앞두고 있는 당신. IRP로 받을까, 연금저축으로 굴릴까?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하는 퇴직금 수령 방식입니다. 하지만 세금, 수령 조건, 운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 상황에 맞는 선택이 가장 중요합니다.


※ 많은 분들이 이 비교를 보고 수령 방식을 바꾸셨습니다.

✅ IRP와 연금저축, 가장 큰 차이는 세금

두 상품 모두 퇴직 후 연금 수령용 계좌이지만, 세금 구조가 다릅니다.

구분 IRP 연금저축
퇴직금 수령 이체 가능 (퇴직소득세 이연) 불가
세금 혜택 퇴직소득세 감면 소득공제 + 연금소득세
납입한도 연 1,800만 원 연 1,800만 원 (소득공제 한도는 600만 원)
연금 개시 나이 만 55세부터 만 55세부터

👉 퇴직금이 있는 경우엔 IRP가 유리, 연금저축은 재직 중 추가 납입용으로 활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 어떤 경우에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 퇴직금 수령용 → IRP 필수
  • 세액공제 받고 싶다 → 연금저축 추가 납입
  • 안정적인 운용 원한다 → IRP는 퇴직연금 중심, 안정적 자산 운용 용이
  • 두 개 다 활용해도 되나요? → YES, 세제혜택 분산 가능

※ IRP는 퇴직금이 들어올 수 있고, 연금저축은 근로소득자의 연말정산 절세에 특화돼 있어 병행 활용이 가능합니다.

🧾 실제 활용 사례

예시: 55세 퇴직자, 퇴직금 1억 2천만 원 수령 예정

  • IRP에 이체 → 퇴직소득세 약 40% 감면
  • 연금저축으로 연 400만 원 추가 납입 →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66만 원 절세

👉 퇴직금은 IRP로, 추가 절세는 연금저축으로 병행하는 전략이 최적입니다.

아래  실제 사례를 보면, 왜 이렇게 선택해야 하는지 명확해집니다.

⚠️ 자동이체만 해두면 수익이 0원?

많은 분들이 IRP 계좌를 개설하고 ‘자동이체만 설정하면 끝’이라고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이렇게 두면 수익률이 0%에 가까울 수 있어요. IRP는 기본적으로 원리금보장형 상품(예: MMF, 예금형)으로 시작됩니다.


운용 지시 없이 방치하면 이자도 거의 없고, 수익도 없습니다.

 

저는 이 기준으로 비교하고 개설해서 수익률도 올리고, 세금도 줄였어요.

✅ IRP 운용, 이렇게만 바꿔도 수익이 달라집니다

IRP도 투자형 상품에 배분하면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 50대 초중반 → TDF 2045~2050
  • 50대 후반~60대 → 채권혼합형 or 중위험 TDF
  • 리스크 회피형 → 예금형 + 일부 ETF 혼합

👉 대부분 금융사 앱에서는 IRP 운용 지시 변경 메뉴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투자형 상품으로 일부 자산만 옮겨도 수익률 개선이 확연해요.

📌 지금 확인해보세요

혹시 지금 IRP 계좌가 개설만 돼 있고, 아무 투자 설정도 안 돼 있다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수익이 0원인 IRP는, 그냥 ‘비싼 저축통장’일 뿐입니다.

👉 IRP 개설 전 체크리스트와 함께
운용 방식까지 꼼꼼히 설정하면, 퇴직 후에도 든든한 수익이 따라옵니다.

✅ 마무리 정리

퇴직금 수령과 연금 운용은 ‘무엇을 선택하느냐’보다 ‘어떻게 조합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 퇴직금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IRP 개설 전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시고, 계획적으로 연금 개시를 준비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