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부모님이 대신 넣은 주택청약, 인정금액이 왜 줄어들었을까

by 하고싶은데로해 2025. 4. 10.
반응형

청약통장-인정-횟수
납입은 오래 했는데 횟수가 인정이 안되는경우.

 

"330만원을 넣었는데 국민주택 납입인정금액은 130만원뿐? 청약통장 인정 기준과 부모님이 대신 납입한 경우의 오해를 명확히 정리했습니다. 청약 준비, 지금이라도 바로잡아야 합니다."

 

청약통장 납입은 330만 원, 인정은 130만 원? 나도 그랬습니다

처음 청약통장 내역을 확인했을 때, 정말 당황스러웠습니다.
부모님이 매달 빠짐없이 돈을 넣어주셨고, 총액은 330만 원이 넘었는데,
국민주택 납입인정금액은 고작 130만 원밖에 안 된다는 겁니다.

게다가 납입회차는 130회나 되었지만,
납입인정 회차는 겨우 40회로 표시되더군요.

그때 들었던 생각은 딱 하나였습니다.
"나는 제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믿었는데, 전혀 아니었구나."


실제로 납입한 금액과 인정 금액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인정금액과 실제 납입금액은 왜 다른가요?

주택청약통장에서 납입한 금액은 '실제 납입금액',
청약 심사 시 반영되는 금액은 '납입인정금액'입니다.

항목 기준 설명
납입인정금액 월 10만 원까지 인정 그 이상 넣어도 초과분은 무시됨
납입인정 회차 한 달에 10만 원 이상 넣은 경우에만 1회로 인정 10만 원 미만은 인정되지 않음

즉, 매달 5만 원씩 2번 납입해도 인정회차는 0회일 수 있습니다.

예시로 보면 명확합니다

  • 330만 원을 5만 원씩 납입 → 66회차
  • 하지만 인정금액은 66 x 5만 원 = 330만 원이 아닌
    10만 원까지만 인정 → 최대 130만 원까지


청약 인정 기준을 알고 납입한 사람과 모르고 납입한 사람, 결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부모님이 대신 납입한 경우, 영향이 있나요?

청약통장 자체는 본인 명의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 누가 돈을 넣었는지는 관계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납입 방식과 시기입니다.

  • 불규칙하게 20만 원씩 몇 달 건너뛰며 넣은 경우 → 회차 인정 거의 안 됨
  • 매달 10만 원씩 꾸준히 자동이체 설정 → 회차/금액 모두 인정

따라서 부모님이 대신 넣어주셨더라도
10만 원 기준을 매월 맞춰서 넣지 않으면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이 사실을 모르고 수년간 납입만 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인정금액 늘리는 실질적인 방법은?

이제라도 납입인정금액과 회차를 늘리기 위해서는 다음을 지켜야 합니다:

  1. 매달 10만 원씩 정확히 납입하기
  2. 자동이체 설정 후 절대 빠지지 않기
  3. 통장 관리 화면에서 '납입인정 회차' 체크하기

단순히 많이 넣는 것보다, 꾸준히 정해진 기준만큼 넣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제부터라도 통장 관리를 전략적으로 해야 합니다.


결론: 통장만 있으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우리 부모님 세대는 늘 "통장 만들어만 놔라" 하셨습니다.
그게 최선이라 믿으셨던 거죠.
하지만 지금은, 기준을 모르고 준비하면 손해를 보는 시대입니다.

청약 준비는 단순히 '오래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운용하는 것'임을 이번에 절실히 느꼈습니다.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필독! 공공분양 LTV 대출 조건 A to Z

- 유퀴즈 월요일이 싫어 적금 뭐예요? 20대 2억 모은 비결 공개